바로가기 메뉴
본문 바로가기
푸터 바로가기
TOP

 

교수진

김봉환 교수(국가정책과정 주임교수)

전공재무행정, 공공회계, 공기업평가, 은행감독
주소57-1동 411호
연락처02-880-8083
이메일kimbong@snu.ac.kr
학력사항
  • 2010: Washington University in St. Louis, 경영학과 경영학 박사
  • 2000: University of Michigan, 경영학과 MBA
  • 1992: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경제학사
주요경력
  •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 (2019.9 – 현재)
  •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부교수 (2014.9 – 2019.8)
  •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조교수 (2012.8 – 2014.8)
  • American University 경영학과 조교수 (2010.6 – 2012.7)
  • 서울시 금융도시담당관 (2006)
  • 한국 다우케미칼, 자금 부장 (2002 – 2005)
  • 농림수산부, 행정사무관 (1993 – 1998)
표창사항
  • 금융위원회 위원장 표창 (2019)
  • Hubert C. Moog Scholar Washington University in St. Louis, 2007-2008
  • Doctoral Fellowship Washington University in St. Louis, 2006-2010
  • 공인재무분석사 (CFA), 2004
  • 제 36회 행정고시 재경직 합격, 1993
학회활동
  • 정부회계학회 회장 (2021)
  • 한국행정학회 연구위원장 (2020)
  • 정부회계연구 편집위원장 (2019-2020)
  • 한국회계학회 법률분과 위원장 (2016 – 2017)
  • 한국회계학회 CSR 보고위원회 위원장 (2014 – 2015)
  • 한국정책학회 총무위원회 이사 (2014)
주요자문경력
  • 기획재정부 국가회계제도심의위원회 민간위원 (2013 – 2017, 2019 – 2021)
  • 감사연구원 자문위원 (2020-2021)
  • 한국조세재정연구원 국가회계자문위원 (2020-2022)
  • 금융감독원 예, 결산 심의위원 (금융위원회) (2018 – 2020)
  • 금융감독원 운영혁신 TF (금융위원회) (2018)
  • 공기업 준정부기관 경영평가단 경영관리계량 총괄 간사 (2017)
  • 금융위원회 경영예산심의회 위원 (금융위원회) (2015 – 2018)
  • 공기업 준정부기관 경영평가단 경영평가 위원, 팀장 (2014, 2015)
  • 기획재정부 국가재정운용계획 에너지 분과 작업반 (2013), 총괄 작업반 (2015)
주요연구실적
영문저널
  • “Does longer deliberation by the legislature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government budget?” (with Ahn, J., Jung, H.,), Forthcoming, Public Money & Management.
  • “Fiscal Rules and Income Inequality: The Case of OECD Contries”, (with Jung, H.,), 2020, Public Finance Analysis Vol. 77(2); 197-224.
  • “Financial reporting quality of privately held firms: evidence from private corporations versus limited companies” (with Baik, B., Han, S.Y., Oh, S.). 2020. Asia-Pacific Journal of Accounting & Economics. 1-24 (SSCI).
  • “Bank Monitoring and Financial Reporting Quality: The Case of Accounts-Receivable-Based Loans”, (with Frankel, R., Martin, X., Tao, M.), 2020, Contemporary Accounting Research, Vol. 37(4); 2120-2144.
  • “Budgetary responses to COVID-19: the case of South Korea”, 2020, Journal of Public Budgeting, Accounting & Financial Management. Vol.32(5); 939-947.
  • “Debt Covenant Slack and Ex-Post Conditional Accounting Conservatism”, 2020, Accounting and Business Research, Vol.50(2); 111-134 (SSCI).
  • “The president and asymmetric use of information”, 2019, Journal of Applied Economics Letters, Vol. 26(14); 291-308 (SSCI).
  • “Political change and turnovers: How do political principals consider organizational, individual, and performance information?“ (with Sounman Hong), 2019, Journal of Public Choice, Vol. 181(3-4); 291-308 (SSCI).
  • “Is Narcissism Sustainable in CEO Leadership of State-Owned Enterprises?”, 2018, Sustainability, Vol. 10(7); 1-13 (SSCI).
  • “The Costs of Debt Contracts and the Repeated Use of Debt Covenants”, 2018, Journal of Asia‐Pacific Journal of Financial Studies, Vol.47(6); 858-880 (SSCI).
  • “Do Firms Adjust Their Timely Loss Recognition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Banking Industry?” (with T. Gormley and X. Martin), 2012, Journal of Accounting Research, Vol.50: 159-196 (SSCI).
  • “Asymmetric Timeliness and Delayed Recognition of Bad News”, 2011, The Korean Journal of Policy Studies. Vol.26(1): 189-211.
  • “Conditional Accounting Conservatism and Future Negative Surprises: An Empirical Investigation” (with M. Pevzner), 2010, Journal of Accounting and Public Policy 29: 311-329 (SSCI).

 

국문저널
  • “지능정보사회의 공공부문 회계감사”, 김봉환, 황선필. 2021, 감사논집, 36, 31-57.
  • “예산집행기간 변화가 불용액에 미치는 영향”, 안중기, 김봉환, 2021, 재정학연구, 14(2), 109-138
  • “중앙공무원의 정책순응 연구 : 세종시 이전 정책을 중심으로”, 김봉환, 전예진, 2021, 행정논총, 59(1), 29-50
  • ”지방자치단체 발생주의 예산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“, 김봉환, 이두표, 2020, 행정논총, 58(1), 139-162.
  • “예산심의기간과 예산심의의 합리성”, 김봉환, 안중기, 이권희, 2020, 재정학연구, 13(1), 121-153. 
  • “IPSAS 42 제정에 따른 공적연금회계 개선방안: 공무원연금의 IPSAS 42 적용 가능성을 중심으로”, 김봉환, 안중기, 2020, 회계저널, 29(2), 1-21.
  • “불용액의 정권 연차별 변화와 국회 예산심의의 효율성”, 김봉환, 이권희, 2019, 재정학연구, 12(1), 27-53.
  • “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반기결산 적용 및 도입에 관한 연구”, 정성호, 김봉환, 2019, 한국비교정부학보, 23(1): 137-158.
  • “인사부서의 규모와 직무만족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: 공공기관을 중심으로”, 김봉환, 이권희, 2018, 행정논총, 56(2): 135-157.
  • “통일된 공공부문 회계기준 제정의 필요성에 대한 연구”, 김봉환, 하원석, 2018, 회계저널, 27(5): 101-134.
  • “근로자 퇴직급여 수급권 강화 제도의 정책적 효과 – 제도화 압력을 중심으로 -” 김봉환, 이제복, 한승엽, 2018, 한국정책학회보, 27(4): 165-195.
  • “연금 확대정책이 재정지출감소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”, 김봉환, 이제복, 2017, 행정논총, 55(3): 117-139.
  • “국가부채관리방안으로써 발생주의 예산도입 연구”, 김봉환, 허예슬, 2016, 세무와 회계저널, 17(1): 247-268.
  • “국가재무제표의 정확성 추세에 관한 연구: 회계오류를 중심으로”, 김봉환, 한승엽, 2016, 회계저널, 25(5): 169-208.
  • “노후소득보장을 위한 퇴직 연금 확대 정책에 관한 연구” 김봉환, 이제복, 박상인, 신가영, 2015, 한국정책학회보, 24(2): 289-309.
  • “지방공사 채권수익률 결정요인에 관한 분석: 공사의 재무위험요소를 중심으로”, 전성만, 김봉환, 2015, 지방정부연구, 19(3): 269-290.
  • “현행 국가 결산보고서상 재정지표 분석과 새로운 재정지표의 제안”, 김봉환, 전성만, 2015, 한국행정학보, 49(1): 59-88.
  • “지방공사채 발행의 결정요인에 관한 분석”, 김봉환, 전성만, 2014, 회계저널, 23(1); 91-119.
  • “지방자치단체와 국가 회계기준의 차이에 관한 분석”, 김봉환, 최윤정, 2014, 지방정부연구, 18(3): 1-22.
  • “광역지방자치단체 미수세금대손충당금의 차이에 대한 연구”, 2013, 한국행정학보, 47(4): 213-230.
  • “국가재무제표 재정운영표상의 비용배분이 개선되고 있는가?: 비배분비용을 중심으로”, 김봉환, 최윤정,  회계연구, 18(4), 2013.12, 303-325.
  • “국가재무제표상 미수채권 대손충당금 비율의 중앙관서 간 차이분석”, 2013, 재정학연구, 6(3), 31-60.

 

단행본
  • “대한민국 공무원 그들은 누구인가”, 공저, 2019, 문우사.
  • “Public Management in Korea”, 공저, 2018, Routledge.
  • “공공부문의 성과측정과 관리”, 공저, 2017, 문우사.
  • “정부 역할의 재정립 : 행정”, 공저, 2016, 박영사.
  • “행정학 사례연구 : 성과와 교훈”, 공저, 2015, 대영문화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