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2008. 서울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행정학 박사
- 2001.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석사
- 1996. 서울대학교 농경제학과 경제학사
-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 (2018.3- 현재)
-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부교수 (2013.3 – 2018.2)
-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조교수 (2010.9 – 2013.2)
- 순천향대학교 행정학과 전임강사 (2009. 3 – 2010. 8)
- 한국행정연구원 초청연구원 (2008. 8 – 2008. 12)
- 미국 National Center for Digital Government, The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, Doctoral Research Fellow (2006. 9 – 2007. 8)
- LG CNS Entrue Consulting Partners, Consultant (2001. 11 – 2004. 3)
- 대한민국 공군. 군수 및 계획 장교 (1997. 3 – 2000. 6)
- 2017년 서울행정학회 학술상
- 한국연구재단 신진연구자 지원사업 선정 (2012)
- SBS문화재단 국가미래의제분야 해외연구지원사업 선정 (2014-2015)
-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자 지원사업 선정 (2018)
- 한국행정학회 전자정부연구회 연구이사 (2009~2010)
- 한국행정학회 총무이사 (2011)
- 「한국행정학보」 편집위원 (2012-2013)
- 서울행정학회 연구이사 (2013)
- 한국조직학회 연구위원장 (2014)
- 미국 Digital Government Society, dg.o 2016 Conference Program Committee Member (2016)
- 한국행정학회 학술정보위원회 이사 (2016)
- 「한국행정연구」편집위원 (2016-2018)
- 「한국사회와 행정연구」편집위원 (2016-2017)
- Digital Government Society, dg.o 2017 Conference Program Committee Member (2017)
- 서울행정학회 연구이사 (2017)
- 한국행정학회 연구이사 (2017, 2018)
- 미국 Digital Government Society, dg.o 2018 Conference Program Committee Member (2018)
- 한국사회과학협의회 Korean Social Science Journal 편집위원장 (2018-2019)
- 한국행정학회 학술정보위원장 (2019)
- 서울행정학회 국제협력위원회 이사 (2019)
- 미국 Digital Government Society, dg.o 2019 Conference Program Committee Member (2019)
- 미국 Digital Government Society, dg.o 2020 Conference Program Committee Chair (2020)
- 「한국행정학보」 편집위원 (2021-2022)
- Government Information Quarterly Special Issue “Digital Transformation of Government in Turbulent Times: Challenge and Response” Guest Editor (2020-2021)
- 농림수산식품부 식품산업진흥심의회 위원 (2011.11– 2014.11.)
- 국무총리실 산하 정부3.0추진위원회 전문위원 (2016.10 – 2017.2)
- 기획재정부 공공기관 경영평가위원 (2018.3 – 2020.3)
- 행정안전부 공공데이터 개방 실태평가위원 (2018.9 – 2021.2)
- 행정안전부 정부혁신 컨설팅위원 (2019 – 2021)
- 행정안전부 정부혁신평가위원 (2019 – 2021)
- 행정안전부‧한국정보화진흥원 개발도상국 고위공무원 대상 전자정부 및 디지털 정부혁신 교육 대표위원(2020)
- 행정안전부 전자정부추진위원회 위원 (2020 – 현재)
-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데이터특위 총괄분과위원 (2021 – 현재)
학술논문
– Emerging Digital Twin Bureaucracy in the 21st Century. Perspectives on Public Management and Governance (online print). 2022. (단독저자. SCOPUS)
– Digital Government Transformation in Turbulent Times: Responses, Challenges, and Future Direction. Government Information Quarterly 39(2). 2022.(주저자. SSCI)
– 정책옹호연합 간 정책아이디어의 차이와 시기별 변동 분석: 긴급재난지원금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. 「한국행정학보」 56(1). 2022. (교신저자)
– 전자청원과 온라인 이슈 공중 관계의 형성: 청와대 국민청원에서 심신미약 이슈를 중심으로. 「한국사회와 행정연구」 32(3). 2021. (교신저자)
– 지방정부에서 전자청원 시스템의 효과성: 서울시 전자청원과 서면 청원의 비교를 중심으로. 「한국행정학보」 55(3). 2021. (교신저자)
– 인공지능 시대의 민주주의와 행정 : 「국민신문고」 민원시스템 고도화 사례를 중심으로. 「한국행정연구」 30(2). 2021. (단독)
– 여성인력의 활용이 공공 기관의 청렴도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. 「한국공공관리학보」 20(2). 2021. (교신저자)
– 문재인정부의 지방분권정책과 지방자치단체의 정체성. 「한국행정논집」 33(2). 2021. (교신저자)
– 주민참여 활성화를 위한 주민참여기제의 성격 분석 및 재설계 방향. 「한국지방자치학회보」 32(3). 2020. (교신저자)
– 공공기관장 재임기간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: 정권교체시기와 경영평가결과를 중심으로. 「공기업논총」 20(2). 2019. (교신저자)
– 소셜미디어 활용을 통한 지방행정의 반응성 개선: 성남시의 트위터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. 「한국행정학보」 53(4). 2019. (교신저자)
– The Managerial Dimension of Open Data Success: Focusing on the Open Data Initiatives in Korean Local Governments, Sustainability 11. 2019 (교신저자: SSCI)
– 국내 결혼이민자의 모바일인터넷 이용활동에 대한 영향요인 연구.「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」22(2). 한국지역정보화학회. 2019. (교신저자)
– 한국 외국인 정책의 가치 지향성 분석: 중앙정부를 중심으로.「다문화와 평화」 13(2). 다문화평화연구소. 2019. (교신저자)
– 한국의 고도성장기의 산업정책 네트워크 분석: 수출진흥확대회의와 월간경제동향보고회의를 중심으로. 「한국행정학보」 52(4). 2018. (교신저자)
– Exploring the Determinants of Governments Data Openness: The Case of Open Data Initiatives in Korean Metropolitan Governments. Journal of Advanced Research in Dynamical and Control Systems. 10(S11). 2018. (교신저자; SCOPUS)
– 정부지식관리의 성과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: 정보기술과 조직적 맥락간 상호작용을 중심으로. 「한국거버넌스학회보」 25(1). 2018. (교신저자)
– Can Social Media Increase Government Responsiveness? A Case Study of Seoul, Korea. Government Information Quarterly. 35(1). 2018. (주저자; SSCI)
– Business Associations and Developmental State in Korea: A Case of Machinery Industry in the 1960-70s. The Korean Journal of Policy Studies. 32(3). 2017. (주저자)
– 한국의 국가발전과 행정, 1948~2016: 국가기구론의 시각에서. 「한국사회와 행정연구」 27(3). 2017. (주저자)
– 위계문화가 정보기술 활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: 세종시 이전 중앙행정기관을 중심으로. 「한국거버넌스학회보」24(1). 2017. (교신저자)
– 한국행정의 역량: 경로의존에 의한 행정개혁의 형식화를 중심으로. 「한국행정학보」50(4). 2016. (단독)
– 한국 중앙정부의 모바일 전자정부 발전수준 측정 및 영향요인 분석: 공공 스마트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. 「행정논총」54(4). 2016. (교신저자)
– 스마트폰 기반의 모바일 전자정부의 발전수준 측정 및 영향요인 분석: 지방자치단체의 스마트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.「한국행정학보」50(2). 2016. (교신저자)
– The Use of Smart Work in Government: Empirical Analysis of Korean Experiences. Government Information Quarterly. 32. 2016. (주저자: SSCI)
– 한국의 고도성장기의 고위관료의 역할: 1960-70년대 중화학공업화 정책 추진과정에서의 리더십을 중심으로. 『한국사회와 행정연구』 26(4). 2016. (교신저자)
– The Governance System of Industrial Policy in the Era of Growth in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State-Society Relations. The Korean Journal of Policy Studies. 29(3). 2014. (주저자)
– 광역자치단체장의 트위터 활용: 누가 어떻게 트위터를 행정에 활용하는가? 「한국행정학보」48(3). 2014. (주저자)
– The Adoption of Public Smartphone Applications in Korea: Empirical Analysis on Maturity Level and Influential Factors. Government Information Quarterly. 31(supp1). 2014. (주저자: SSCI)
– Improving Governmental Transparency in Korea: Toward Institutionalized and ICT-Enabled Transparency. The Korean Journal of Policy Studies. 29(1). 2014. (단독)
– Institutional Dimensions of e-Government Development: Implementing the ‘Business Reference Model (BRM)’ in the United States and Korea. Administration and Society. 45(7). 2013. (단독: SSCI)
– 조직공정성 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: 경찰조직에서의 상호작용공정성을 중심으로. 「한국행정학보」47(3). 2013. (교신저자)
– 행정의 공정성에 대한 시론적 연구: 개념정의와 인식조사 결과 분석을 중심으로.「사회과학연구」23(4). 2012. (주저자)
– 일제 식민지배시기의 행정제도의 특성에 대한 연구: 식민국가론의 시각에서. 「한국사회와 행정연구」23(3). 2012. (주저자)
– 한국 국가기구의 단절과 연속: 1948~1972.「한국행정학보」46(3). 2012. (교신저자)
– Institutionalization for Improving Transparency in Korea. Korean Political Science Review. 46(3). 2012. (공동저자)
– Synergy between State and Rural Society for Development: An Analysis of the Governance System of the Rural Saemaul Undong in Korea. KOREA OBSERVER. 42(4). 2011. (단독: SSCI)
– 전자정부 추진과정에서의 낭중지추(囊中之錐): 다양한 참여자와 지식을 연결하는 지식중개자. 「행정논총」 49(4). 2011. (단독)
– 동원과 참여 사이에서: 1970년대 농촌 새마을운동 과정에서의 지방공무원의 역할. 「한국행정학보」 45(3). 2011. (단독)
– The Rural Saeamul Undong Revisited from the perspective of Good Governance. The Korean Journal of Policy Studies. 26(2). 2011. (단독)
– 특허 공무원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변리사 자격제도의 개선방안: 특허청 경력 공무원의 변리사 자격 자동부여 제도를 중심으로. 「한국인사행정학회보」 9(2). 2010. (단독)
– 한국 행정조직문화와 신공공관리론적 개혁과의 적합성에 관한 연구. 「사회과학연구」16(1). 2010. (단독)
– 행정의 책임성: 행정이론간 충돌과 논쟁.「한국행정학보」43(4). 2009. (단독)
– 공공기능 수행조직 및 예산유형 분석을 통한 지방 거버넌스의 실증 분석: 서울시를 중심으로.「정부와 정책」3(1). 2009. (단독)
– 정책도구 분석을 통한 지방 거버넌스의 실증 분석: 서울시와 관악구를 중심으로. 「행정논총」46(3). 2008. (단독)
– 전환기 통신시장 효율화를 위한 정보통신정책의 고찰.「한국정책학회보」15(2). 2006. (공동저자)
– 정부혁신과 전자정부의 연계에 관한 연구: 정부기능연계모델(BRM)을 중심으로. 「행정논총」43(4). 2005. (공동저자)
– 행정정보화가 행정조직 내 인력규모 및 인력구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연구: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. 「한국행정연구」15(3). 2005. (주저자)
– 정보기술도입이 행정조직의 구조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 연구: 중앙행정기관을 중심으로. 「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」4(1). 2005. (주저자)
저서 및 북챕터
– 김현준 외. 「디지털 전환에 대응하는 협력적 거버넌스 확립방안」. 정보통신기획평가원 연구보고서. 2021.
– 엄석진. 「대한민국 민주주의의 디지털 혁신」 대구: 한국정보화진흥원. 2021.
– 정용덕 외. 「현대국가의 행정학」(제 3판). 파주: 법문사. 2021.
– 엄석진 외. 「AI와 미래행정」 서울: 박영사. 2021. (AI정부의 개념, 논쟁, 그리고 전망)
– 엄석진 외. 「정부의 디지털 혁신」 파주: 문우사. 2020.
– 엄석진. 「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의 국가와 거버넌스의 변화」 대구: 한국정보화진흥원. 2020.
– 젠더혁신연구센터. 「출산과 양육이 행복한 스마트시티」 서울: 인문사회융합연구회. 2020. (스마트시티의 개념과 융합적 접근의 필요성)
– 임도빈 외. 「한국행정의 역사적 분석 1985-2018」 파주: 진인진. 2020. (행정기구 및 행정기능, 행정정보화와 전자정부 추진)
– Korean Public Administration: Historical Approach In Ali Farazmand (ed.) Global Encyclopedia of Public Administration, Public Policy, and Governance. Springer. 2019.
– 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 편. 「카이스트 미래전략 2019」 서울: 김영사. 2018. (4차 산업혁명 시대의 행정)
– 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 편. 「대한민국 국가미래 전략 2018」 서울: 이콘. 2017. (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행정혁신)
– 권혁주 외. 「지속가능한 개발과 공공행정: 개발도상국 사례연구」 서울: 문우사. 2016. (콜롬비아의 전자정부 추진을 위한 거버넌스 체계: 제도적 접근)
– 김동욱 외. 「정부 역할의 재정립: 행정편」 파주: 박영사. 2016. (스마트 정보기술의 발전에 따른 전자정부의 변화)
– 강호인·박순애·엄석진 편. 「노동의 미래」 서울: 문우사. 2016.
– 엄석진 외. 「일본 국가기구의 변화와 연속성」 서울: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. 2015.
– 임도빈 외. 「실패한 정책들: 정책학습의 관점에서」 서울: 박영사. 2015. (시티폰 정책실패: 열등한 기술의 예정된 실패?)
– 이대희·이원희 외. 「행정」 서울: 조명문화사. 2015.
– Enhancing Information Services through Public-Private Partnerships: Information Technology Knowledge Transfer underlying Structures to Develop Shared Services in the U.S. and Korea. In Mika Markus Merviö(ed.) Management and Participation on the Public Sphere. N.Y.: IGI Global. 2015.
– 정용덕 외. 「현대국가의 행정학」(제 2판). 파주: 법문사. 2014.
– 김상욱 외 「한국사회의 공정성 1990~2011」서울: 성균관대학교출판부, 2013. (행정의 공정성에 대한 시론적 연구)
– 임도빈 외.「공직사회의 낭중지추를 찾아서」파주: 법문사. 2013. (전자정부 추진과정의 다양한 참여자와 지식을 연결하는 지식중개자)
– Enhancing Information Services through Public-Private Partnerships: Information Technology Knowledge Transfer Underlying Structures to Develop Shared Services in the U.S. and Korea. in J. Ramon Gil-Garcia (ed.) E-government Success around the World: Cases, Empirical Studies, and Practical Recommendations. N.Y.: IGI Global. 2013.
– 경제․인문사회연구회 지음.「우리 사회는 공정한가: 통계와 사례로 바라본 한국 사회의 공정성」. 서울: 한국경제신문. 2012. (정부의 공정성에 대한 2개의 시선: 절차적 공정성과 결과적 공정성 사이에서의 딜레마)
– 박석희 외.「행정학강의」서울: 형설출판사. 2010. (공저)
– 홍재환․함종석 편저.「국가경쟁력과 리더십」. 한국행정연구원 연구총서. 파주: 법문사. 2010. (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)
-「2009년도 예산부수법 분석」. 국회예산정책처 예산현안분석 제25호. 서울: 국회예산정책처. 2009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