바로가기 메뉴
본문 바로가기
푸터 바로가기
TOP

 

교수진

이수영 교수(협동과정 국가정책행정전공 주임교수)

전공인사행정론, 조직행태론, 공공관리론, 조직이론, 정부성과
주소57-1동 315호
연락처02-880-5575
이메일soo3121@snu.ac.kr
학력사항
  • 1998.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(문학사)
  • 2002.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(행정학 석사)
  • 2003.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(행정학 석사)
  • 2009. University of Georgia (행정학 박사)
주요경력
  • 2011. 3 – 현재.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
  • 2009. 9 – 2011. 2. 한국외대 행정학과 교수
  • 2019. 3 – 현재.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국가리더십연구센터 센터장
  • 2019. 12 – 2021.12. Editor-in-Chief. International Review of Public Administration 
  • 2018 – 현재. 경제인문사회연구회 기획평가위원
  • 2019 – 현재. 인사혁신처 정부업무 자체평가위원
  • 2019 – 현재. 경찰청 시민감찰위원
  • 2015 – 2018. 2021 – 현재. 기획재정부 공공기관 경영평가 위원
주요연구실적
저서
  • “대한민국 국민행복지도”(공저). 문우사.
 
해외저널
  • “Is More Commitment Always Better? A Study on the Side Effects of Excessive Organizational Commitment on Work–Family Conflict” forthcoming. Review of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. (SSCI) (공저)
  • “The Reorganization of the US Citizenship and Immigration Services (USCIS) and Its Effects” forthcoming. Public Organization Review. (Scopus) (공저)
  • “Shedding  New Light on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: The Impact of Human  Resource Management Practices and Human Resources on the Perception of  Federal Agency Mission Accomplishment” Public Personnel Management. 2017. (SSCI) (공저).
  • “Exit, Voice, and Loyalty with Multiple Exit Options: Evidence from the U.S. Federal Workforce”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, 2015, 25(2). (SSCI) (공저)
  • “The Hawthorne Studies Revisited: Evidence from the U.S. Federal Workforce” Administration and Society. 2015, 47(5). (SSCI) (공저)
  • “Moderating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stressor-satisfaction relationship: Evidence from police officers in Korea”. International Review of Public Administration. 2015, 20(1). (공저)
  • “Assessing the Differential Impacts of Organizational Resources on the Performance of Public Agencies: Evidence from the U.S. Federal Government”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, 2013. 23(3), (SSCI) (공저)
  • “Disorder, Dictatorship, and Government Effectiveness: Cross-national Evidence” Journal of Public Policy, 2012, 32(1). (SSCI) (공저)
  • “Does Family-Friendly Policy Matter? Testing Its Impact on Turnover and Performance” Public Administration Review, 2011, 71(6). (SSCI) (공저)
  • “Collaborative Behavior and the Performance of Government Agencies” International Public Management Journal, 2010, 13(4). (SSCI) (공저)
  • “Government Effectiveness in Comparative Perspective” Journal of Comparative Policy Analysis, 2009, 11(2). (SSCI) (공저)
  • “Exit, Voice, Loyalty, and Pay: Evidence from the Public Workforce”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, 2008, 18(4). (SSCI) (공저)
 
국내저널
  • “공공기관 목표대치현상에 관한 연구: 비정규직의 무기계약직 전환에 관한 논의.” 한국행정학보, 2017, 51(4). (공저)
  • “공공기관 정부지원금과 도덕적 해이에 관한 연구: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과 업무추진비를 중심으로.” 한국정책학회보, 2017, 26(4). (공저)
  • “공공부문 비정규직 고용이 조직 구성원의 자발적 이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: 공공성 지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.” 한국인사행정학회보, 2017, 16(4). (공저)
  • “공무원의 세종시 이전유형과 직무만족의 관계에 대한 연구: 상사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.” 한국사회와 행정연구, 2017, 28(3). (공저)
  • “다양성, 연봉제, 그리고 이직의 관계에 대한 연구: 공공기관을 중심으로.” 한국행정학보, 2017. 51(3). (공저)
  • “성과지향적 보상방식이 공무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: 형평이론의 시스템 및 경험의 준거를 중심으로.” 행정논총, 2017, 55(2). (공저)
  • “세종시 이전이 공무원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: 참여적 의사결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.” 한국행정논집, 2017, 29(2). (공저)
  • “우리나라 공무원 채용제도에 대한 진단과 개편방안 제언.” 한국인사행정학회보, 2017, 16(1). (공저)
  • “우리나라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 관한 연구: 정부별 인수위 운영방식을 중심으로.” 행정논총, 2017, 55(3). (공저)
  • “인적 다양성과 조직성과의 선형 및 비선형 관계에 대한 연구: 공기업을 중심으로.” 한국행정학보, 2017, 51(4). (공저)
  • “정부의 위험유형별 관리능력과 정부신뢰의 관계에 대한 연구: 소득계층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.” 한국정책학회보, 2017, 26(3). (공저)
  • “조직적 요인이 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: 개인의 욕구체계를 중심으로.” 한국인사행정학회보, 2017, 16(3). (공저)
  • “행복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: Alderfer의 E.R.G.이론을 중심으로.” 한국행정논집, 2017, 29(3). (공저)
  • “공무원의 이직의사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”. 한국사회와 행정연구, 2016, 27(1). (공저)
  • “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(PSM)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”. 한국행정연구, 2016, 25(1). (공저)
  • “사회계층이 국민의 희망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: 계층상승 가능성과 정부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”. 한국정책학회보. 2016, 25(3). (공저)
  • “도구변수 분석을 통한 공공봉사동기(PSM)의 특성에 관한 연구”, 한국정책학회보, 2015, 24(3). (공저)
  • “지방교육협력의 제도, 자원, 과정이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”. 한국행정학보. 2015, 49(1). (공저)
  • “거시적 사회경제요인이 국민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분석: 우리나라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”. 행정논총. 2015, 53(2). (공저)
  • “비관료적 행태에 관한 새로운 접근: 유형별 영향요인 분석”. 한국사회와 행정연구. 2015, 25(4). (공저)
  • “조직공정성 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: 광역-기초자치단체 공무원의 조절효과 검증”. 한국행정논집. 2015, 27(1). (공저)
  • “우리나라 청(廳) 조직의 권한과 한계에 대한 소고(小考)”. 한국행정연구. 2014, 23(3). (공저)
  • “공직봉사동기와 보수만족도가 경찰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: 경찰조직 내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”. 한국인사행정학회보. 2014, 13(3). (공저)
  • “Civil Service Reforms and the Development of Korea”. Korean Journal of Policy Studies, 2014, 29(1). (공저)
  • “중앙정부 공무원의 자화상: 세대 간 조직몰입 영향요인에 대한 비교연구”. 한국인사행정학회보, 2014, 13(1). (공저)
  • “일선 경찰의 행태 및 근무환경에 대한 참여관찰적 연구: 지구대, 형사, 교통 경찰을 중심으로” 한국치안행정논집, 2013, 10(1). (공저)
  • “교대 근무자와 비교대 근무자의 직무만족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: 경찰 공무원을 중심으로” 한국인사행정학회보, 2013, 12(1). (공저)
  • “Mission Impossible? 공무원 성과급의 이상 조건과 현실 상황의 괴리 분석” 한국인사행정학회보, 2011, 10(3)
  • “Strengthening Network Ties through Mentoring of Alienated Personnel” Korean Journal of Policy Studies, 2011, 26(3). (공저)